본문 바로가기
주(酒)간지식/와인

프랑스의 와인등급은 어떻게 되어있을까

by 주(酒)간(肝) 2023. 3. 16.
반응형
 

프랑스의 와인등급은 어떻게 되어있을까


 

안녕하세요, 오늘 저희가 알아볼 주(酒)간지식은 바로 '프랑스의 와인등급'입니다. 바로 이전에 이탈리아의 와인등급에 대해서 잠깐 알아봤는데, 오늘은 이어서 또다른 와인산지의 대표주자인 프랑스는 어떻게 나뉘어져 있을지 알아보려합니다.

 

알아두면 언젠가 반드시 쓸 때가 있는 주(酒)간지식.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프랑스 와인등급표


프랑스의 각 지역은 각기 다른 기후와, 토양조건에 따라 전통적인 포도품종과 생산방식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와인의 품질을 발전시키기 위하여 프랑스는 정부차원에서 와인 등급제도를 실시하고 있으며, 1855년 보르도 상공회의소는 보르도의 중개상에게 위임하여 보르도 지역의 61개 생산자들을 5개 등급으로 분류하여 그랑크뤼(Grand Cru) 와인을 만들었습니다.

또한 1932년에는 품질면에서 그랑크뤼에 뒤지지 않는 와인들을 모아 크뤼 부르주아(Cru Bourgeois)라 불렀고, 약 450개의 생산자들이 여기에 속하게 됩니다.

 

이렇듯 예전부터 와인으로 유명했던 프랑스는, 일찍이 품질관리체제를 법률로 확립하여 와인을 생산해 왔습니다. 1905년부터 포도재배 지역의 지리적 경계가 나뉘어지기 시작하였으며, 1935년에 원산지 통제 명칭 제도(AOC)가 확립되었고, 현재 생산되는 프랑스 고급 와인의 대부분은 지방 행정부 법률에 의해서 규제를 받고 있습니다.

 

 

 

프랑스의 와인등급은 보시다시피 A.O.C, V.D.Q.S, V.D.P, V.D.T, 순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제 각각의 와인등급에 대하여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A.O.C(Appellation d’Origine Controlee)

A.O.C는 프랑스 와인등급의 가장 높은 순위로서, 와인 라벨에 원산지(포도 재배 지명)를 표기해야 하며 포도 품종, 재배 및 제조 방법, 단위 면적당 최대 수확량, 알코올 농도등을 법에 의하여 엄격히 통제받습니다.

원산지 명칭에 따른 통제라고 의해하시면 되며, 알파벳 O부분에는 지역, 지구, 마을의 이름이 표기가 됩니다.

EX) Appellation Bordeaux controlee

 

2. V.D.Q.S(Vin Delimites de Qualite Superieure)

두 번째로 V.D.Q.S입니다. 우수 품질 제한 와인이라는 뜻으로서, 총 와인 중 2%만이 이 순위에 해당하며, 현재 V.D.Q.S등급의 대부분 와인은 A.O.C로 격상된 상태입니다.

수 자체가 적어 흔하게 마주할 수 있는 와인은 아닙니다.

 

3. V.D.P(Vin de Pays)

V.D.P는 프랑스 와인의 세 번째 등급으로서, 지역등급 와인을 의미합니다. 프랑스의 랑그독 지방에서 이 등급의 와인을 주로 생산하며, 등급상으로는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으나 규제가 적어 혁신적이고 실험적인 와인들이 다수 분포되어 있습니다.

실제로 V.D.P와인 중에는 A.O.C등급보다 고가에 품질 좋은 와인들이 여럿 존재합니다.

 

4. V.D.T(Vin de Table)

마지막 등급인 V.D.T는 테이블와인 등급으로서, 대부분 저렴하고 윗 등급들에 비하여 품질이 떨어지는 와인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물론 비교적 품질이 좋은 상태의 와인이 윗등급의 규격을 통과하지 못하여 상주하는 경우도 있으나, 보통은 질이 높은 편이 아니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역시나 와인의 본고장답게 확실한 등급체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프랑스 와인은 국립원산지통제명칭기구(INAO), 전국 와인동업자협회(ONIVINS), 경쟁-소비 및 위반행위단속국(DGCCRE), 조세국(DGI) 까지 4개의 기관에 의하여 생산부터 시장화까지 연속적인 감독까지 받으니, 얼마나 와인에 진심인지 알 수 있는 부분이겠죠.

오늘은 이렇게 프랑스 와인의 등급에 대하여 간단히 알아보았습니다. 그렇게 대단한 정보는 아니지만, 이정도만 알고 있어도 술자리에서 이야기하기 딱 좋다는 것. 다음엔 더 다양한 정보로 찾아오도록 하겠습니다.

 

끝.

 

 

반응형

댓글